반응형
목표 : 불확실하고 복잡한 세상 이기기
에센스 -> 행동계획
- 확률분야의 장기간 좋은 실적은 과정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 순간의 이익을 포기하고 투자의 틀을 만들자.
- 대부분 산업에서는 경쟁이 강하면 수익률이 하락한다. -> 경쟁이 치열해지는지 확인하라.
- 투자고수는 특정게임에 집중적으로 파고들어 세세한 내용을 본다. -> 내 기준에 맞는 (이기는) 게임만 초집중하라.
- 기대값 = 다양한 사건의 발생확률 × 그 사건의 예상손익 -> 대가들은 항상 확률적(기대값) 사고가 있다.
- 장기적 관점을 유지하는데 심리로 풀어야 한다. -> 내 감정은 통제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 손익에 대한 내 감정을 알아야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다. -> 손익을 확률적으로 평가할 때 내 감정은?
- 초과수익을 달성하려면 군중들의 행태가 나보다 중요하다. -> 대중은 어디로 가는가? 무엇에 열광하는가?
- 전문가들은 사실에 기초한 스토리 구성(심상)이 중요하다. -> 투자대상의 스토리가 마음에 그려지는가?
- 새 정보는 선반영되었기에 중장기 경쟁력이 가장 중요하다. -> 장기플랜을 계획대로 잘 하고 있는지 파악하라.
- 혁신은 아이디어 조각을 재구성하기 때문에 많은 조각이 필요하다. -> 다양한 분야 습득 후 적용해야 한다.
- 현명한 투자자는 가지치기 과정을 마치고 생존한 기업을 탐색한다. -> 가지치기 과정은 통과해야 한다.
- 복수의 대안을 마련하고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수정하라. -> 최소 2개 시나리오로 상황을 판단해야 한다(확률론적 사고의 필요성)
- 복잡계에서는 타인을 이해하고 나를 이해하는 사고력이 필요하다. -> 나와 타인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라.(인간관계론 공부)
- 적합성 지형을 파악하면 전략과 구조를 알 수 있다. -> 상황(현재상태)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 평균회귀와 실적회복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쟁력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 항상 2~3개 기업 경쟁력을 확인해야 한다.
- 경쟁이 반드시 마이너스 게임은 아니다. -> 경쟁을 통해 CEO 의사결정과 장기적 통찰력을 파악할 수 있다.
- 잘못된 추정치들이 상쇄되면서 정제된 정보가 된다. -> 수치가 옳고 그른지 판단하면서 정보가 다듬어진다.
- 헤지펀드 업계의 참담한 실패는 대부분 두꺼운 꼬리에서 발생한다. -> 희귀사건은 어둠의 파괴자이다.
- 복잡계 특성 : 집합(큰 규모행동), 적응결정규칙(효율성), 비선형(더 복잡), 피드백 -> 주식시장의 핵심 특징이다.
- 입의적이고 지배적 심리에 따라 판단하면 큰 편차가 생긴다. -> 무형요소는 경제적해자로 판단해야 한다.
- 현재수익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전망이 밝지 않다고 착각할 수 있다. -> 산업과 기업(초창기, 성숙기)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
- 정신적 격자모형 만들기 1) 다양한 학문의 이론적 모형 이해 2) 각 이론적 모형 정리 3) 문제를 풀기 위해 다른 모형 참고, 응용
- 사고실험( 실제로 불가능한 것을 머릿속에서 논리적으로 수행) -> 마음심상으로 마음껏 상상하라.
- 복잡계를 연구할 때는 시스템을 관찰하고 분석시 대략적으로도 계량화하라 -> 숫자는 감정을 통제할 수 있다.
- 공학에서는 안전마진(오류의 여지를 두는)을 습관처럼 여긴다. -> 오류는 어디서나 있기에 찾아야 한다.
- 이 책은 시각을 좀 더 높고 넓게 교정시켜준다. -> 관점(투자의 틀) 만들기
반응형
'글쓰기눈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메버> (0) | 2022.04.05 |
---|---|
투자에 대한 생각 < 하워드 막스> (0) | 2022.04.04 |
워렌버핏 바이블 2021 <이건, 최준철, 홍영표> (0) | 2022.04.03 |
경제적 해자 <펫도시> (0) | 2022.04.02 |
행운에 속지마라 <나심 니콜라스 탈렙> (0) | 2022.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