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슬기로운 생활 눈뜨기50 아세클로페낙(소염 진통제)에 관한 사실 코로나19 이후로 진통제는 각 가정마다 반드시 하나씩 있어야 하는 필수약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미열이 있어도 진통제를 먹고 생리통이나 약간의 두통이 생겨서 바로 진통제를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진통제의 성분이나 부작용을 자세히 알고 먹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나요? 진통제는 마약성과 비마약성으로 나뉩니다. 말 그대로 마약성 진통제는 처방이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다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비마약성 진통제는 소염진통제(NSAIDs)와 해열 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로 나뉩니다. NSAIDs와 아세트 아미노펜에 관하여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에 들어가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부프로펜에 관한 사실(NSAIDs) 아세트아미노펜에 관한 사실 여기서 소염진통제의 소염은 '염증을 없앤다'는.. 2023. 12. 5. 디아제팜(항불안제)에 관한 사실 2019년에 의료용 마약류 항불안제를 처방받은 환자가 무려 660만 명으로 8명 중 1명이라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식약처는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라는 서한도 배포했었습니다. 여기서 여성(63.4%)이 남성(36.6%) 보다 많이 사용했고 연령대는 60대(20.4%)가 가장 많았습니다. 종류로는 벤조디아제핀 계인 디아제팜(319만 명), 항불안제 알프라졸람(266만 명), 항불안제 로라제팜(114만 명) 순서로 많았습니다. 그럼 가장 많이 처방받은 벤조디아제핀계란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벤조디아제핀은 1955년 레오 스턴 바흐가 발견했고 1963년 호프만 라 로슈에서 디아제팜을 시장에 내놨습니다. 벤조디아제핀은 신경전달물질인 GABA의 효과를 향상해 근육이완, 기억상실, 항불안 작.. 2023. 12. 5. 아시클로버(대상포진 치료제)에 관한 사실 몸이 피곤하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어김없이 입술에 물집이 생기는 사람이 많습니다. 30 ~ 40 %가 겪는 흔한 증상인데 재발이 쉽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이 물집은 바이러스성 질환인 HSV-1이고 감염이 되면 입술이나 그 주변에 물집이 생겨 가려움이나 작열감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타인에게 감염을 전파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세계 보건기구는 2016년에 전 세계적으로 50세 미만의 2/3 이상이 HSV-1에 감염됐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리고 15세에서 49세 사이의 사람들 중 13%가 HSV-2 감염으로 생식기 포진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HSV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HSV-1 : 구순포진으로 알려져 있고 입 주변에 물집이 생기고 구강 접촉으로 감염됩니다. HSV-2 : 일반.. 2023. 12. 4. 덱사메타손(코로나 치료제)에 관한 사실 최근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인 메디슨을 통해 '스테로이드가 장기간 코로나 19 후유증에서 회복한 환자의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라는 연구결과를 공개했습니다. 해당 연구팀은 코로나 19로 입원했던 환자 1207명을 대상으로 퇴원 후 1년간 관찰해 혈액 내 염증 지표인 CRP 수치가 높은 환자의 경우 1년 내 사망할 위험이 61%이 더 높다고 공개했습니다. 그리고 이 환자들에게 항염증 스테로이드를 처방한 결과 사망 위험이 51% 감소했다고 했습니다. 스테로이드는 코로나 초기인 2020년에 값싼 치료제로 각광받았고 트럼프 대통령이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와 항염증 치료제인 덱사메타손을 처방받았다는 뉴스로 이슈 되었습니다. 그리고 해당 연구진은 덱사메타손이 인공호흡기 치료군의 사망률을 3.. 2023. 12. 4. 나프록센에 관한 사실 현재 오미크론 확진자 수가 많이 떨어졌지만 아직까지 확진 후 통증이 심해서 고통을 받는 환자들도 많습니다. 대한약사회의 오인석 약사님께서는 "오미크론의 경우 목에서 염증이 일어나기 때문에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해결해주는 소염진통제를 사용하는 게 좋다.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을 권장하며, 특히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나프록센을 복용하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혹시 이부프로펜에 관한 사실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에 오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부프로펜에 관한 사실 (tistory.com) 하지만 주의해야 할 것은 여러 종류의 약을 동시에 먹어도 되는 경우가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같은 계열의 약인 경우 복용하면 안 되고 다른 성분의 약끼리는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해열제인 아세트 아미노펜과 비스테로이.. 2023. 12. 4. 파모티딘에 관한 사실 최근에 라니티딘이나 니자티딘 성분의 위궤양 치료제에서 발암 추정물질인 NDMA가 검출되었기 때문에 '파모티딘' 성분 의약품의 허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0년도까지 특허품이 3개밖에 없었던 '파모티딘' 계열의 의약품이 2021년도 상반기에만 21품목이 허가를 받아서 제약업계는 파모티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파모티딘은 위벽에서 위산의 분비를 자극하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의 수용체에 대한 작용을 막기 때문에 위산을 감소시키는 위장약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또는 H2 차단제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 약은 위산의 과다 분비로 발생하는 속쓰림, 식도염, 위궤양 치료에 쓰입니다. 그리고 작용시간 및 반감기가 길어서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적기 때문에 안전하.. 2023. 12. 4.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