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생활 눈뜨기

트리암시놀론(여드름 치료제)에 관한 사실

by 남이철이 2022. 8. 13.
반응형

성형시술 후 트리암시놀론

최근 성형 수술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트리암시놀론 주사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특히 보형물의 일종인 고어텍스를 삽입하는 성형 수술을 받은 후 수술 부위가 약간 돌출되지만 트리암시놀론 주사를 맞으면 들어가서 이슈가 됐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리암시놀론이 면역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감염증을 앓았던 사람들은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약 성분이 감염을 악화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한 번에 많이 주사하면 반대쪽 피부가 함몰될 수 있기 때문에 나누어 주사 시술을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여드름 치료제 트리암시놀론

남성의 70% 이상이 지성피부이기 때문에 특히 남성분들은 사춘기 시절 여드름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 고민이 성인이 되면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25세 이후에도 발생되는 성인 여드름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춘기 여드름은 이마, 코, 코 주변 T존 부위에 많이 생기지만 성인 여드름은 볼, 턱, 턱 라인의 U존 부위에서 많이 생깁니다. 여드름은 피지 분비가 많아지기 때문에 각질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져서 모공을 막게 되고 피지가 고여 여드름 균이 자랍니다. 여드름 균이 염증반응을 일으켜서 여드름을 만듭니다.

요즘은 마스크를 쓰기 때문에 마스크 닿는 피부에 많이 생깁니다.

 

전문가들은 여드름을 짜면 마음은 시원하지만 피부 밑으로 터져 염증을 더 크게 만들고 색소가 침착되기 때문에 손대지 말라고 말합니다. 피지 분비가 증가하면 피지 억제제를 복용하거나 레이저 시술로 피지 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염증반응이 국소적으로 생겼으면 트리암시놀론 주사를 써서 염증을 빨리 가라 앉혀 줍니다.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계열

트리암시놀로은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계열입니다.

코르티코 스테로이드는 전립선 암, 대장암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유도하여 염증을 제거합니다. 인체의 통증은 대부분 염증 문제이기 때문에 코르티코 스테로이드는 만병통치약이라고 불릴 정도로 효과가 좋습니다. 자가면역질환, 아토피, 두드러기 등 면역억제제로 사용하고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급성 과민반응에도 효과가 탁월합니다.

 

하지만 장기투여하면 면역력을 약화시키고 호르몬 교란을 일으킵니다. 즉, 몸의 회복력을 약화시켜 스스로 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리게 만듭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은 쿠싱 증후군입니다. 쿠싱증후군으로 인해 인슐린 기능을 저하시켜 혈당을 높이게 되고 결국 면역력이 떨어집니다.

부작용이 적은 비스테로이드에 관한 글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이부프로펜에 관한 사실

 

그럼 국내에서 시판되는 대표적인 트리암시놀론 약물인 레더코트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품명 : 레더코트정(트리암시놀론)

업체명 : 에스케이케미칼(주)

의약품 분류 : 전문의약품

허가일 : 2005-12-06

품목기준코드 : 200501789

표준코드 : 8806447003008, 8806447003015, 8806447003022

저장방법 : 기밀 용기에 실온 보관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6개월

포장정보 : 30정/병, 500정/병

보험약가 : 644700300 ( 66원-2018.07.25~)

ATC코드 : H02AB08(triamcinolone)

 

원료약품 및 분량

  • 총량 : 1정 중 91밀리그램
  • 첨가제 : 옥수수전분, 유당 수화물, 미결정셀룰로오스, 인산수소칼슘수화물, 전분글리콜산나트륨, 디옥틸호박산유황나트륨과인식향산나트륨혼합물,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첨가제 주의성분 : 유당 수화물

 

효과

  1. 내분비 장애 : 원발성 또는 속발성 및 급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아급성 갑상샘염, 갑상샘 중독증, 부신 적제
  2. 교원성 질환 : 류머티즘열,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염, 강직성 척추염, 피부근염, 성년성 부종성 경화증, 강피증, 결절성 동맥주위염, 전신성 또는 만성 원판상 홍반, 류마티스 관절염
  3. 알레르기성 질환 : 고초열, 혈관운동 신경성 비염, 천식성 기관지염, 혈청병, 급성 약물중독, 기관지 천식
  4. 신경 질환 : 다발성 경화증, 척수염
  5. 신질환 : 신증후군
  6. 혈액 질환 : 후천성 용혈성 빈혈, 백혈병(급성, 만성 림프성 백혈병), 자반병(혈소판 감소성, 비 감소성)
  7. 위장 질환 : 비특이성 국한성 장염(궤양성 대장염, 국한성 장염)
  8. 중증 감염 시(위급) : 결핵성 복막염, 뇌염, 결핵성 뇌수막염
  9. 신진대사 질환 : 특발성 저혈당증
  10. 피부질환 : 원형탈모증, 기타 균 상식 육종, 레이노병, 진행성 지장 각피증, 모공성 홍색 비강진, 두링 포진상 피부염, 증식성 천포창, 낙엽상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약진, 피부 점막 증후군, 자반병, 결절성 및 다형 삼출성 홍반,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자가 감작성 피부염, 건선성 관절염, 건선성 홍피증, 신경피부염, 비달태선, 양진, 두드러기, 유아습진, 화폐상 습진, 급성 습진, 아급성 습진, 만성 습진
  11. 안과 질환 : 시신경염, 포도막염, 맹락망막염, 홍채 모양체염, 홍채염, 각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검염
  12. 외과 질환 : 외과 침습, 침습 후 폐부종
  13. 산부인과 질환 : 용혈성 빈혈, 임신성 포진

용법 용량

  • 1일 8 ~ 16 mg을 3 ~ 4회로 나누어 경구 투여합니다.(증상에 따라 2 ~ 3일 간격으로 2mg씩 감량합니다)

 

사용상 주의사항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단순포진성 각막염 환자
  2. 단순포진, 대상포진, 수두 환자
  3. 유효한 항균제가 없는 감염증, 전신 진균 감염증 환자
  4. 약에 과민 반영이 있는 환자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골다공증, 고혈압, 소화성 궤양, 간질, 신부전, 간장애, 녹내장, 결핵, 당뇨병, 감정 이상, 울혈 심부전 환자
  2. 급성 사구체신염, 경련성 장애 환자
  3. 혈전성 정맥염 환자
  4. 혈전색전성 환자
  5. 쿠싱 증후군 환자
  6. 전이성 암종 환자
  7. 게실염 환자
  8. 고령자
  9. 중증 근무력증 환자
  10. 지방 색전증 환자
  11. 지방간 환자
  12. 간경변 환자
  13. 갑상샘 기능 저하 환자
  14. 울혈 심부전 환자
  15. 심부전 환자
  16. 골다공증 환자
  17. 당뇨병 환자
  18. 감염증 환자
  19. 후낭하 백내장 환자
  20. 고혈압 환자
  21. 전해질 이상 환자
  22. 혈전증 환자
  23. 최근 장 문합술을 받은 환자
  24. 급성 심근경색을 일으킨 환자
  25. 소화성 궤양 환자
  26. 조현병 환자
  27. 녹내장 환자

 

부작용

  1. 면역계 : 감염증 유발, 피부반응의 억제, 과민반응, 은폐, 악화
  2. 내분비계 : 속발성 부신피질 기능부전, 당뇨병, 월경이상, 폐경 후 질출혈, 쿠싱증후군, 소아의 성장억제, 내당력 감소
  3. 소화기계 : 천공과 출혈이 생기는 소화성 궤양, 췌장염, 설사, 구역, 구토, 위통, 가슴 쓰림, 복부 팽만감, 궤양성 식도염, 위염, 구걸, 식욕부진, 식용 항진
  4. 정신신경계 : 정신장애, 우울증, 다행 감, 불면, 두통, 어지럼, 경련, 치료 후 유두 부종을 수반한 두 개 내압 상승
  5. 근골격계 : 골다공증, 대퇴골 및 상완골 말단의 무균성 괴사, 스테로이드성 근병증, 근육통, 관절통, 근육 약화, 피로, 골다공증, 골절치료지연, 척추 압박골절, 장골의 병리적 골절
  6. 지질, 단백질 대사 : 음소 질소 평형, 지방간
  7. 체액, 전해질 : 부종, 혈압상승, 칼륨 손실, 저 칼륨 성 알칼리혈증, 나트륨 저류, 체액 저류, 감수성 환자의 울혈 심부전
  8. 눈 : 안압 항진, 녹내장, 후낭하 백내장, 바이러스나 곰팡이 2차 감염, 안구돌출, 망막장애
  9. 피부 : 탈도, 다모, 여드름, 색소침착, 피하출혈, 자반, 선조, 가려움, 발한 이상, 안면 홍반, 창상 치유 지연, 얇고 연약한 피부, 점상 출혈 및 반상 출혈, 피부반응 억제
  10. 혈액계 : 백혈구 증가, 혈전색전증
  11. 발열, 스테로이드 신증, 정자수 및 운동성의 증가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동물실험에서 기형이 보고되었고 태아의 성장 지체, 언청이의 위험 증가, 태아의 뇌 성장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료상의 유익이 위험성보다 클 때만 투여해야 합니다.
  2. 코르티코이드는 모유 중으로 이행하므로 수유 중에는 금지합니다.

소아에 대한 투여

  1. 성장 지체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최소용량을 투여해야 합니다.
  2. 장기투여 시 두 개 내압 항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 감염증 유발, 당뇨병, 골다공증, 고혈압, 후낭하 백내장, 녹내장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