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걸리면 발열이나 기침이 나서 감기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코로나만의 뚜렷한 증상은 바로 '후각 상실'입니다. 영국 의학 학술지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 중 50%는 일시적으로 후각이 저하되고 16%는 후각 상실증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후각 상실에 관하여
Cell 저널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에 걸리면 코 신경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후각 수용체(OR)의 작용을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그래서 뉴욕 대학교 그로스만 의과대학과 컬럼비아 대학의 연구원들은 코로나19가 뇌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뇌에서 면역세포 활동이 빠르게 감소하면 면역 신호가 후각 수용체의 형성에 필요한 유전자 활동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으로 면역반응이 후각 수용체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염색체 안에서 활성화 능력을 감소시켜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했습니다. 이것은 코로나19가 유전자 발현의 염색체 조절에 붕괴를 오랫동안 야기시키고 바이러스가 제거된 후에도 후각 수용체의 복원을 막일 수 있는 '핵 기억'을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분당서울대학교 병원은 후각상실 치료하기 위해 주 치료는 경구 및 국소 스테로이드를 처방하고 아미노필린, 테오필린, 비타민 B 등이 보조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미노필린과 테오필린
후각상실 치료제로 사용 중인 아미노필린과 테오필린은 메틸잔계 약물입니다.
기관지 확장 효과 외에도 저용량으로도 항알레르기 염증효과가 있어서 지속적으로 투여하면 천식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물입니다. 여기에 베타 2 항진제와 함께 사용하면 기관지 확장 효과가 더욱 상승합니다.
테오필린
테오필린의 기관지 확장 효과와 부작용은 혈중 테오필린 농도에 비례하여 나타납니다.
혈중 농도(㎍/ml) | 부작용 |
15 ~ 25 | 복통, 설사, 위장관 불쾌감, 구토, 오심, 불안증, 진전, 두통, 둥성 빈맥(분당 120회 이상) |
25~35 | 심실 기외수축, 빈발성 심실 기외수충, 심실성 빈맥 |
35 이상 | 위장관 출혈, 대발작 경련 |
테오필린의 혈중 농도는 간에서의 대사속도에 의해 좌우되는데, 소아에서 성인보다 대사 속도가 빠릅니다. 그리고 H2 수용체 차단제들과 같이 사용하면 농도가 증가하여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아미노필린
아미노필린은 테오필린에 에틸렌디아민기를 붙여 2 : 1 비율로 만든 수용성 화학물입니다. 정맥주사가 가능하며, 체내에서 테오필린으로 대사됩니다. 아미노필린은 테오필린보다 효과가 적고 작용이 짧습니다.
아미노필린은 기관지 확장제로 옛날부터 천식치료제로 사용되어져 왔고 기도폐쇄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기관지 천식, 천식성 기관지염,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울혈성 심부전, 심장 천식(발작 예방), 관상혈관장애, 체인스톡스형 호흡, 신성부종 치료)의 완화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천식치료제보다 다이어트 약물로 더욱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의사들 사이에서 아미노필린을 다이어트 약물로 사용하는 것에 뜨거운 찬반 논쟁이 있습니다.
다이어트 약물에 관하여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럼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아미노필린 약물인 소아용아스콘틴서방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제품명 : 소아용아스콘틴서방정(아미노필린수화물)
업체명 : 동광제약(주)
의약품 분류 : 전문의약품
허가일 : 2000-06-27
품목기준코드 : 200001781
표준코드 : 8806459046208, 8806459046215, 8806459046222, 8806530011507, 8806530011514, 8806530011521
저장방법 : 차광 기밀 용기에 실온 보관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0개월
포장 정보 : 500정/병
보험약가 : 645904620 ( 39원-2017.02.01~)
ATC 코드 : R03DA05 (aminophylline)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아미노필린 수화물
총량 : 1정(156mg)
첨가제 : 포미돈, 황색5호,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탤크, 황색203호
첨가제 주의성분 : 황색5호
효과
- 울혈 심부전
- 기관지 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기관지염에 의한 호흡곤란이나 여러 증상
용법용량
서방정제 -100mg
- 소아(씹거나 부수지 않고 복용해야 합니다.)
- 8 ~ 12세 : 1회 100 ~ 200mg 하루 두 번(아침, 저녁)
- 4 ~ 7세 : 1회 100mg 하루 두번(아침, 저녁)
연령이나 증상에 따라 증감해야 합니다.
서방정제 - 225mg
- 성인 : 1회 225mg을 하루 두 번(아침, 저녁)경구 투여하고 증상에 따라 1회 450mg 하루 두번(아침, 저녁) 투여합니다.
성인 역시 부수지 않고 바로 복용해야 하고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해야 합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경고
- 아미노필린의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혈중농도를 확인해가면서 투여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혈중농도가 높으면 경련, 심실상성 빈맥 등의 중증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심장질환 환자에게 투여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 포르피린증 환자
- 위나 십이지장궤양 환자
- 아미노필린이나 잔틴계 약물에 중증의 이상반응 병력이 있는 환자
- 아미노필린의 구성성분이나 잔틴계 약물에 과민반응 환자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 황색 5호(선셋 옐로 FCF)가 있기 때문에 이 성분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환자
- 급성 열성질환 환자
- 만성 알코올 중독 환자
- 임부, 임신을 준비하는 여성이나 수유부
- 심근경색 환자
- 빈맥성 부정맥 환자
-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
- 고혈압 환자
- 소아나 고령자
- 간 기능 장애 환자
- 급성 신염이나 신부전 환자
- 갑상샘 기능 항진증 환자
- 간질 환자
부작용
- 때때로 부종
- 간장 : 가끔씩 ALT, AST, ALP 상승
- 근골격계 : 드물게 횡문근융해증, 크레아틴 키나아제(CK) 수치 상승
- 호흡기계 : 호흡률 증가
- 대사 및 영양계 : 혈청 요산 치상승, 저나트륨혈증, 저인산 혈증
- 비뇨기계 : 가끔씩 단백뇨
- 과민반응 : 가려움이나 피진
- 소화기계 : 가끔씩 구토, 구역, 식욕부진, 위자극, 복부 팽만감, 설사, 소화불량, 복통
- 순환기계 : 가끔씩 홍조, 기외수축, 심계항진, 저혈압, 부정맥, 빈맥, 안면 창백
- 정신신경계 : 가끔씩 두통, 불면, 마비, 진전, 이명, 어지럼, 불안, 중추신경계 흥분 그리고 과량 투여 시 혼수, 섬망, 경련
일반적인 주의사항
- 흡연을 중단하면 테오필린의 혈중농도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며 투여해야 합니다.
- 유효 용량까지 증량한 환자는 테오필린 정제를 재 증량이나 임상적 평가 없이 다른 잔틴계 제제로 변경하면 안 됩니다.
- 간질환, 심부전, 바이러스 감염, 급성 폐부종, 갑상샘저하증 환자들은 혈장 청소율을 감소시킬 수 있기에 주의하며 투여해야 합니다.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 동물실험에서 기형 발생이 보고되었고 사람에서는 태반을 통과하여 신생아에게는 구토나 신경과민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임부나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들은 의사가 필요할 때만 투여해야 합니다.
- 모유 중으로 이행되어 영아에게 신경과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유익성이 위험성보다 클 때만 투여해야 합니다.
소아에 대한 투여
- 소아 투여 시에는 에페드린과 동시에 투여하지 않습니다.
- 바이러스 감염에 수반되는 발열 시에는 테오필린의 혈중농도가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 간질을 경험한 소아는 경련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 6개월 이하 영아에게는 투여하면 안 됩니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테오필린은 간에서 대사 되기 때문에 간 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들은 테오필린의 혈중농도가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감량이 필요할 수가 있습니다.
과량투여 시 처치
- 소화기 증상(구토, 복통), 정신신경증상(흥분, 불안, 두통), 순환기 증상(심실부정맥), 근골격 증상(횡문근융해증) 및 대사이상(산/염기 장애)이 나타나면 위의 내용물을 비우고 심전도를 시행하면서 관찰하면서 체액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약용탄의 경구투여는 혈중농도를 낮추고 심한 중독이면 약용탄-칼럼 혈액 활류를 시행합니다.
- 서방성 제제는 수 시간 동안 약물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슬기로운 생활 눈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암시놀론(여드름 치료제)에 관한 사실 (0) | 2022.08.13 |
---|---|
8월 첫째주 묵상 (0) | 2022.08.06 |
트라조돈(우울증 약)에 관한 사실 (0) | 2022.07.16 |
디클로페낙(골관절염 치료제)에 관한 사실 (0) | 2022.07.10 |
니트로글리세린에 관한 사실 (0) | 2022.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