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식욕억제제인 펜터민과 암페타민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 약은 포만감을 더 오랫동안 느끼게 하여 체중을 감량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식이요법과 운동만으로는 체중 감량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약입니다. 하지만 암페타민과 함께 약물 오남용 사례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처방 없이는 복용하면 안 됩니다.
우리나라의 연구에 따르면 14주 동안 펜터민을 복용한 비만인 사람들의 86%가 체중의 5% 이상을 감량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또 다른 연구로는 12동안 약을 복용한 사람들의 96%가 체중의 5%이상을 감량했고 같은 그룹의 62%가 체중의 10%이상을 감량했습니다. 그리고 페터민과 토피라메이트라는 약물은 오랫동안 인정을 받은 복합제이고 함께 치료에 사용됩니다.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1년 동안 페터민과 토피라메이트를 복용한 사람들의 75%가 체중의 5%이상을 감량했습니다.
그리고 펜플루라민은 펜터민과 비슷하게 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체중을 감량시키는 약물입니다. 펜플루라민은 세로토닌(뇌의 신경 전달 물질)에 영향을 미쳐 식욕을 억제합니다. 하지만 토피라메이트와 다르게 펜플루라민과 펜터민을 함께 사용한다면 심장 판막 손상을 주는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해 FDA는 1997년에 펜플루라민을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막았습니다. 다행히도 펜터민을 단독으로 복용했을 때 심장 판막 질환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럼 대표적인 비만치료제인 펜터민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Chat GPT가 알려주는 전문적인 약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GPT약사전(챗봇)
제품명
메타 맥스 정(펜터민염산염)
업체명
구주제약(주)
의약품 분류
전문의약품
품목 기준 코드
200512167
표준코드
8806698010404, 8806698010411, 8806698010428
저장방법
기밀 용기에 실온 보관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36개월
포장 정보
30정/병, 100정/병
ATC 코드
A08AA01(phentermine)
효능효과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에 효과를 못 본 체질량지수(BMI) 30kg/㎡이상인 사람이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있는 BMI 27kg/㎡이상인 비만 환자에게 단기간 효과가 있습니다. 이 약은 다른 식욕억제제와 함께 복용하면 안 됩니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되었습니다.
표. 체질량지수(BMI, kg/㎡)
용법용량
- 성인일 경우 1일 1회 37.5mg을 아침 식전에 복용하거나 아침 식후 1~2시간 후에 복용합니다.
-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늦은 밤에는 복용하면 안 됩니다.
- 이 약은 4주 이내 동안만 복용합니다. 하지만 환자가 첫 4주 동안 최소 1.8kg 이상 체중이 감량되었다면 계속 복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상 주의사항
다른 약들과 식욕억제제와 이 약을 함께 복용하는 것에 대한 안전성이 아직 확립이 안됐기 때문에 단독으로 단기간만 복용해야 합니다.
다음 환자에는 투여 금지
- 임부 또는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
- 16세 이하의 소아
- 다른 식욕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
- MAO 억제제를 복용하고 있거나 복용 후 2주가 경과하지 않은 환자(혈압이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 과거에 약물을 남용했던 환자
- 정신적으로 불안하거나 흥분된 환자
- 녹내장 환자
- 교감신경 흥분성 아민류에 과민하거나 특이체질인 환자
- 갑상선 항진증 환자
- 폐동맥 고혈압 환자
- 중증 고혈압 환자
- 심혈관계 질환 환자
- 동맥경화증 환자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
- 당뇨병 환자
- 경증의 고혈압 환자
부작용
- 비뇨생식기계 : 성적 충동의 변화, 발기부전
- 과민반응 : 두드러기
- 소화기계 : 설사, 변비, 구갈, 불쾌한 맛, 위장관 장애
- 중추신경계 : 불안감, 과자 극작용, 어지럼, 불면증, 불쾌감, 도취감, 진전, 두통, 드물게 정신질환적 발작
- 심혈관계 : 원발성 폐동맥 고혈압, 역류성 심장판막 질환,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
주의사항
-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계를 조작하면 안 됩니다.
- 장기간 고용량으로 복용하다가 갑자기 중단하면 극도의 피로감이나 우울감이 나타날 수도 있고 수면 중에 EEG(뇌전도)에 변화가 나타납니다.
- 약에 대한 내성이 수주일 내에 나타날 때는 용량을 늘이지 말고 중단해야 합니다.
- 최근 1년 안에 다른 식욕억제제를 사용한 환자는 금지합니다.
- 약 복용 시 당뇨병 환자에서는 인슐린 투여량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식이요법과 병행하여 인슐린 투여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 과량투여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초기에 최소한만 복용해야 합니다.
임산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 동물실험이 수행되지 않았기에 안전성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임산부의 갑작스러운 체중감소는 태아에게 악영향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보다 클 경우에만 복용해야 합니다.
- 약물이 모유 이행을 하여 영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유익성이 위험성보다 클 경우에만 복용해야 합니다.
과량 복용 시 처치
증상
- 갑작스러운 과량 복용 시 불안, 환각, 호흡 빨라짐, 공황상태가 나타날 수도 있고 치명적일 경우 경련이나 혼수상태나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심혈관계(부정맥, 고혈압이나 저혈압, 쇼크, 빈맥)이나 소화기계(복통, 설사, 구토 등)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처치
- 바르비 탈류의 진정제를 투여하거나 위세척을 하거나 묘를 배출하면 해독됩니다.
- 과량 복용 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하면 안 되고 만약 혈압이 상승되면 펜톨아민 정맥주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슬기로운 생활 눈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아벡스(메트포르민염산염)에 관한 사실 (1) | 2023.12.04 |
---|---|
졸피뎀(수면제)에 관한 사실 (0) | 2023.12.04 |
히드랄라진(고혈압 약)에 관한 사실 (2) | 2023.12.04 |
세프트리악손에 관한 사실 (0) | 2023.12.04 |
아스피린 프로텍트정 100mg에 관한 사실 (1) | 2023.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