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입신고도 인터넷으로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이사하면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동사무소에 갈 시간이 없을 때 인증서만 있으면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 전입신고를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청인이 만 17세 미만인 경우, 기존 세대가 살고 있는 곳에 별도로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입니다. 이 외의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인터넷 전입신고가 가능합니다. 그럼 인터넷으로 전입신고하는 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목 차
1. 전입신고에 관하여
2.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하는 방법
3. 전입신고에 관한 질문과 답변
1. 전입신고에 관하여
- 전입신고란?
거주지를 이동할 때에 신고의무자가 새로운 거지주에 전입한 날부터 2주 이내에 주소지 변경과 등록을 위한 전입 사실을 새로운 거주지 관할기관에게 신고하는 것입니다.
- 신청방법
인터넷 또는 방문
- 수수료
없음
- 구비서류
주민등록증 지참
- 신청자격
본인 또는 대리인(온라인은 본인만 가능합니다.)
2.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하는 방법
1)정부24 사이트에서 전입신고 신청을 검색합니다.
2) 민원안내 및 신청화면에서 신고를 클릭합니다.
3) 전입신고 3단계
- 1단계 - 신청인 정보를 작성합니다.(연락처, 전입하는 사유)
- 2단계 - 이사하기 전 주소를 조회하고 이사 가는 사람을 선택합니다.
- 3단계 - 이사온 곳의 주소를 입력하고 빈집으로 이사오는지 아니면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오는지 선택합니다. 그리고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 등 각종 서비스에 동의하고 마지막으로 민원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4) 전입신고 신청 결과 확인하기
- 전입신고 신청 후 처리상태는 정부 24 사이트 ☞ My Gov ☞ 나의 신청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신청 과정에서 실수가 있거나 세대주 확인을 기한 내에 처리하지 않으면 전입신고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전입신고는 이사한 날부터 2주 내에 해야 하고 하지 않을 경우 5만 원 이하 과태료, 거짓 신고할 경우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8시 이후나 토요일, 공휴일에 신청했다면 다음 근무일에 신청이 접수되어 처리됩니다.
3. 전입신고에 관한 질문과 답변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시 신청 3단계에서 세대원정보가 조회되지 않습니다.
- 세대원 정보조회 시 자료가 없다고 나온다면 개명이나 회원 정보상 성명에 공백이 포함된 경우이기 때문에 [회원정보관리-수정-성명 변경]하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세대원 정보조회가 안되더라도 입력 칸이 활성화되면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세대원 정보조회 시 팝업창에 로딩이 계속되면 도구 ☞ 인터넷 옵션 ☞ 보안 ☞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정부24 관련 사이트는 삭제하고 *gov.kr 만 추가합니다. 그리고 도구 ☞ 인터넷 옵션 ☞ 보안 ☞ 사용자 지정수중 ☞ 기타 항목에 혼합된 콘텐츠 표시를 '사용'으로 체크합니다.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할 때 세대주 확인은 어떻게 하죠?
- 정부 24 사이트에서 상단 메뉴 중 서비스 ☞ 신청/확인/공유 ☞ 사실/진위확인 ☞ 세대주 확인을 선택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 이름, 주민등록번호, 입력 확인번호를 넣고 인증서 로그인 후 본인 확인을 완료하면 세대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신청된 전입신고를 확인하여 하단에 [본인 확인]을 클릭하면 세대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입신고가 완료되면 [주민등록표 열람]으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전입신고를 인터넷으로 할 때 세대주 변경은 어떻게 하나요?
세대주 변경은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세대구성, 세대편입"으로 전입신고 후 "주민등록 정정(말소) 신고"를 신청하는 법
- 전입신고할 때 전입 구분을 "세대구성, 세대편입"을 선택하고 신청합니다.
-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전입신고의 처리상태가 "처리완료"로 상태 변경을 확인합니다.
- 동일 주소지에서 "세대주 A & 세대원 B"의 상태에서 "세대주 B & 세대원 A"로 변경하는 경우는 "주민등록 정정(말소) 신고"를 검색하고 신청서 작성 후 "세대주 변경"으로 민원 신청합니다.
- 신청인은 신청할 때 인증서 로그인을 하고 변경되는 세대주는 "서비스 ☞ 신청/확인/공유 ☞ 사실/진위 확인 ☞ 세대주 확인"메뉴에서 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해야 합니다.
- 세대주 확인 절차가 끝나면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처리상태까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2) "세대 합가"로 전입신고 신청하는 법
- 전입지에 이미 다른 세대주 A가 있는 상태에서 신청인 B가 세대주가 되어야 하는 경우는 B는 다음과 같이 신청합니다.
- 전입신고 1단계에서 전입 구분을 "세대 합가", "전입지 세대주와의 관계"는 "본인"을 선택합니다.
- 2단계는 "전세 대주"란에 세대주 A의 인적사항을 작성합니다.
- 2단계에서 전입지란의 세대주에는 B의 인적사항을 작성하고 B의 인증서로 신청합니다.
- A는 "서비스 ☞ 신청/확인/공유 ☞ 사실/진위 확인 ☞ 세대주 확인"에서 인증서 로그인 후 본인 확인을 해야 합니다.
- B는 A의 세대주 확인 절차가 끝난 이후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처리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세대 합가"로 신청하면 주민센터에서 확인 전화를 할 수도 있습니다.
전입신고할 때 용어가 어려워서 신청하는 절차를 모르겠습니다.
[전입 구분]
세대구성
- 단독이나 세대원 일부가 새롭게 전입하는 곳에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
다른 세대로 편입
- 이사할 곳에 세대주가 있고 그곳에 세대원으로 주소를 옮기는 경우
세대 합가
- 이사할 곳에 세대주가 있고 그곳에 주소를 옮기며 세대를 합치는 경우
[전출 구분]
세대 전부 전출
- 세대주, 세대원 모두 전입하는 경우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 일부 전출(세대주 포함)
- 세대주를 포함해서 세대원 일부가 전입하는 경우에 남은 세대원 중 1명을 세대주로 설정해야 하는 경우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세대주 미포함)
- 세대주는 그대로 있고 세대원 일부만 전입하는 경우
[번지 입력법]
- 1-1 번지면 입력 시 1번지 1호
[세대주 확인 과정]
- 서비스 ☞세대주 확인을 클릭하여 이름, 주민등록번호, 입력 확인번호를 넣고 인증서 로그인 후 본인 확인 후 확인하면 됩니다. 세대주 확인이 안 된 상태로 8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시간은 얼마나 걸리죠?
- 업무시간(9 ~ 18시)에 신청받은 경우는 3시간 내에 처리되고 근무시간 외(18시 이후, 공휴일)에 신청하면 근무 시작 시간부터 3시간 내에 처리됩니다. 신청시간이 15시를 넘기면 다음날 처리될 수도 있습니다.
전입신고 완료 후 무엇을 해야 하나요?
1) 주민센터 방문
- 주민등록증 뒷면 수정
- 자녀의 취학통지서(학교배정) 수령
2) 자동차 등록번호판 시, 도간 변경 등록신청
- 전입신고 후 14일 내 시군구 차량등록사업소에 신청
- 전국 자동차 번호판은 자동으로 처리됨
3) 중학교 전학(편입학) 배정 신청
- 다니던 학교의 재학증명서 수령
- 지방교육청 방문 후 학교 배정
- 배정받은 학교에 배정통지서 접수
4) 고등학교 전학(편입학) 배정신청(인문계 평준화지역만)
- 고등학교 배정
- 시도교육청, 재적학교
전입신고 내용을 잘못 기재했는데 취소가 가능한가요?
- 잘못 기재한 사항은 수정이 불가합니다. 만약 유효하지 않은 정보로 기재했다면 담당자가 반려 처리한 후 재신청이 가능하고 유효한 정보로 기재했다면 직접 행정기관에 방문하여 재신청해야 합니다. 단, 전입신고를 온라인으로 처리완료된 당일에는 재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슬기로운 생활 눈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로 아이폰 14 가장 싸게 사는 법 (0) | 2022.11.02 |
---|---|
생계급여 지원대상과 급여액 계산하기 (0) | 2022.09.16 |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자격 및 신청방법 (1) | 2022.09.08 |
코스트코 9월 휴무일 및 회원권에 관하여 (0) | 2022.09.05 |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에 관하여 (0) | 2022.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