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추수 시작할 때에
룻기 1:15~22
하나님과 그 백성을 향한 룻의 결단
15 : 나오미가 또 이르되 보라 네 동서는 그의 백성과 그의 신들에게로 돌아가나니 너도 너의 동서를 따라 돌아가라 하니
16 : 룻이 이르되 내게 어머니를 떠나며 어머니를 따르지 말고 돌아가라 강권하지 마옵소서 어머니께서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니께서 머무시는 곳에서 나도 머물겠나이다 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
17 : 어머니께서 죽으시는 곳에서 나도 죽어 거기 묻힐 것이라 만일 내가 죽는 일 외에 어머니를 떠나면 여호와께서 내게 벌을 내리시고 더 내리시기를 원하나이다 하는 지라
18 : 나오미가 룻이 자기와 함께 가기로 굳게 결심함을 보고 그에게 말하기를 그치니라
베들레헴에 도착한 나오미와 룻
19 : 이에 그 두 사람이 베들레헴까지 갔더라 베들레헴에 이를 때에 온 성읍이 그들로 말미암아 떠들며 이르기를 이이가 나오미냐 하는지라
20 : 나오미가 그들에게 이르되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나를 마라라 부르라 이는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음이니라
21 : 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돌아오게 하셨느니라 여호와께서 나를 징벌하셨고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거늘 너희가 어찌 나를 나오미라 부르느냐 하니라
22 : 나오미가 모암 지방에서 그의 며느리 모압 여인 룻과 함께 돌아왔는데 그들이 보리 추수 시작할 때에 베들레헴에 이르렀더라
- 자식 두명과 남편의 잃은 나오미는 며느리들 마저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했다. 나오미의 마음은 얼마나 아팠을까? 자신의 모든 것을 잃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그 고통을 더 이상 며느리들에게 주고 싶지 않았고 새 출발 하라는 뜻에서 고향으로 돌려보낸 것이다. 첫째 며느리는 돌아갔지만 룻은 돌아가지 않았다. 나오미가 믿는 하나님을 믿고 나오미가 가는 곳을 항상 함께 갈 것이라고 했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잃었다고 느끼는 나오미에게 룻이라는 선물을 붙여주셨다.
사람들이 나오미를 불렀지만 더이상 자신을 희락이라는 뜻인 나오미로 부르지 말고 쓰다는 뜻인 마라라고 부르라고 했다. 그만큼 나오미는 자신의 인생이 하나님께서 버리셨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룻은 비록 다른 신을 섬기는 모압 출신이지만 하나님을 신뢰하고 나오미 옆에서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려고 했던 것이다. 이처럼 하나님의 사역은 출신을 따지지 않는다. 세상이 보기에는 자격 없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눈에는 딱 적임자라고 보이실 수도 있다. 지금 당장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서 미래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하나님께서는 나오미와 룻을 보리 추수할 시점에 베들레헴으로 인도하셨다. 그 말은 모든 것을 준비해놓으셨고 좋은 길로 인도하신다는 것이다.
나오미가 겪었던 과거의 상처가 하나님을 올바로 이해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과거의 그 사건이 벌어질 때는 마치 하나님께서 자신을 버린것처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고난당할 때 항상 옆에 계셨다. 그 고통을 절대로 잊지 않으시는 분이시다. 우리가 느끼는 것이 다 옳은 것은 아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선한 길로 이끄신다는 것을 절대로 잊지 말자.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해서 너무 부정적이지 말자. 모든 사건은 하나님께서 다 허락하신 것이다. 결국에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선하고 가장 좋은 길로 이끄실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