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 25:23~38
토지를 무르는 방법
23 : 토지를 영구히 팔지 말 것은 토지는 다 내 것임이니라 너희는 거류민이요 동거하는 자로서 나와 함께 있느니라
24 : 너희 기업의 온 땅에서 그 토지 무르기를 허락할지니
25 : 만일 네 형제가 가난하여 그의 기업 중에서 얼마를 팔았으면 그에게 가까운 기업 무를 자가 와서 그의 형제가 판 것을 무를 것이요
26 : 만일 그것을 무를 사람이 없고 자기가 부유하게 되어 무를 힘이 있으면
27 : 그 판 해를 계수하여 그 남은 값을 산 자에게 주고 자기의 소유지로 돌릴 것이니라
28 : 그러나 자기가 무를 힘이 없으면 그 판 것이 희년에 이르기까지 산 자의 손에 있다가 희년에 이르러 돌아올지니 그것이 곧 그의 기업으로 돌아갈 것이니라
가옥을 무르는 방법
29 : 성벽 있는 성 내의 가옥을 팔았으면 판 지 만 일 년 안에는 무를 수 있나니 곧 그 기한 안에 무르려니와
30 : 일 년 안에 무르지 못하면 그 성안의 가옥은 산 자의 소유로 확정되어 대대로 영구히 그에게 속하고 희년에라도 돌려보내지 아니할 것이니라
31 : 그러나 성벽이 둘리지 아니한 촌락의 가옥은 나라의 전토와 같이 물러 주기도 할 것이요 희년에 돌려보내기도 할 것이니라
32 : 레위 족속의 성읍 곧 그들의 소유의 성읍의 가옥은 레위 사람이 언제든지 무를 수 있으나
33 : 만일 레위 사람이 무르지 아니하면 그의 소유 성읍의 판 가옥은 희년에 돌려보낼지니 이는 레위 사람의 성읍의 가옥은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받은 그들의 기업이 됨이니라
34 : 그러나 그들의 성읍 주위에 있는 들판은 그들의 영원한 소유지이니 팔지 못할지니라
가난한 채무자에 대한 규정
35 : 네 형제가 가난하게 되어 빈 손으로 네 곁에 있거든 너는 그를 도와 거류민이나 동거인처럼 너와 함께 생활하게 하되
36 : 너는 그에게 이자를 받지 말고 네 하나님을 경외하여 네 형제로 너와 함께 생활하게 할 것인즉
37 : 너는 그에게 이자를 위하여 돈을 꾸어 주지 말고 이익을 위하여 네 양식을 꾸어 주지 말라
38 :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며 또 가나안 땅을 너희에게 주려고 애굽 땅에서 너희를 인도하여 낸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니라
하나님께서는 땅을 영구히 팔지 말라고 하셨다.
이 말은 무조건 집을 팔지 말라는 뜻이 아니라 이익을 위하여 하나님이 명령하신 지역을 벗어나지 말라는 뜻이다.
그 이유는 우리는 진정한 그 땅의 주인이 아니고 단지 땅을 돌보는 관리인 즉, 청지기이기 때문이다. 관리인이 주인 행사를 하면 어떻게 될까? 쫓겨나지 않을까?
하지만 우리는 세상의 법으로 소유권을 가진 이상 자신의 뜻대로 땅을 사고팔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은 하나님께서 맡기신 것이지 마음대로 하라고 소유권까지 주시진 않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애굽의 노예로 살았던 이스라엘에게 땅과 자유를 선물로 주셨다. 애굽에서 꺼내신 사건은 비단 이스라엘에만 영적인 의미가 있는 건 아니다. 지금 우리에게도 엄청난 영적 의미가 있다. 죽음에서 생명으로, 죄에서 구원함으로 하나님의 절대적인 은혜로 옮겨진 것이다. 이것을 우리가 매일, 매 순간 기억하기를 하나님께서는 원하신다.
그리고 가난한 자를 멸시하는 건 하나님을 멸시하는 것이라고 분명히 말하셨다. 물질을 허락하신 이유는 가난하고 소외된 자를 돕기 위함이지 마음대로 쓰고 즐기라고 주신건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물질을 받기 전에는 선한 곳에 쓰겠다고 고백하지만 실제로 물질을 얻은 후는 욕심에 사로잡혀서 온전히 자신을 위하여 쓰는 경우가 많다.
레위기 25장을 통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영적인 메시지는 모든 창조물은 하나님의 것이다라는 사실이다.
이 사실을 마음 깊이 새긴 성도와 그렇지 않은 성도의 차이는 삶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내 소유가 아닌 하나님의 선물임을 철저하게 깨달아야 한다.
댓글